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6

콤프턴 효과(Compton Effect), 드 브로이 물질파(DeBroglie Matter Wave) + Davisson-Gemer의 DeBroglie Wave 확인 실험 『 앞서, 광전효과(Photoelectron Effect) 에서 아이슈타인은 빛의 입자성을 가정했다 이 가정은 콤프턴(Compton)에 의해 증명되었다 』 ▶ 콤프턴 효과(Compton Effect) 전자(Electron) 에 X선을 쏘았을 때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 산란(Scattering) 된 X선의 파장이, 입사된 X선의 파장보다 길어지는 현상 이다 ▷ 콤프턴 산란(Compton Scattering) X선, 감마선의 파장(Wave) 을 가진 광자(Photon)가 전자(Electron)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잃는 비탄성 산란 과정 이다 이 콤프턴 산란 실험은 빛이 파동과 입자 두개의 성질을 갖는다는 파동-입자 이중성(wave-particle duality) 을 따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콤프.. 2022. 12. 16.
PCB설계, 부품 배치시 설계기준, 부품 특성별 위치 결정 ▶ 기능별 블록화 ▷ 부품배치와 신호의 흐름 부품 배치는 회로도에 있는 신호의 흐름에 따른다, 이를 위해선 회로도 및 회로 특성 을 충분히 이해하고 커넥터의 정보 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신호 흐름 이해는 기판 설계의 핵심 이다 ▷ 주파수(Frequency) 특성에 따른 배치 방법 IPC 권장사항 에서, 커넥터(Connector)에 인접한 주파수가 높은 부품 그룹을 배치 한다 독립된 기판에서 동작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여러 장의 기판이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커넥터에 인접한 영역에 주파수가 높은 그룹을 배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회로(Circuit) 의 기능별 블록화 회로도를 기능별로 구분할 시, 부품을 배치할 때 같은 전원끼리 모아서 배치 를 한다 인접된 블록과 겹치.. 2022. 12. 14.
MOSFET, 채널 길이 변조 효과(Channel Lenth Modulation Effect) ▶ 채널 길이 변조 효과 (Channel Lenth Modulation Effect) 채널 길이 변조 효과란, 앞 MOSFET특성에서 배웟듯 Drain - Source 전압(Vds) 이 높아지고 낮아짐에 따라 채널의 길이가 변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Long Channel 에서보다는, Short Channel 의 경우에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Vds가 커지면, Vgs에 의해 형성된 Channel길이(L)는 짧아지고 Pinch-off 현상이 발생했을 때 포화가 되야 하지만, 채널의 길이가 짧아짐에도 불구하고 Id 가 계속 증가한다 저항(R)은 너비가 넓을수록 길이가 짧아질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Channel이 짧아지면 전류(Id)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 채널 길이 변조 효과 식 우리가 알고 있던 포화식과 그래.. 2022. 12. 12.
[2]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의 종류와 특징 ▶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 제조 ▷ 화합물 반도체 단결정 기판 제조 수평 브릿지만(Horizontal Bridgman)법, 수평 구배 냉각(Horizontal Gradient Freeze)법 초크랄스키(Czochralski)법 ▷ 소자용 화합물 반도체 박막 형성 유기금속 화학 기상 증착법(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빔 에피택시(MBE, Molecular Beam Epitaxy) 액상 에피택시(LPE, Liquid Phase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에피택시(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원자층 증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 ▷ 화합물 반도체는 밴드갭(.. 2022. 12. 10.
아이슈타인(Einstein) 광양자 이론(Light Quantum Theory), 광전효과(Photoeletric Effect) + 플랑크 법칙 ▶ 막스 플랑크(Max Planck) , 광양자 이론 플랑크는 불연속적인 에너지 값을 갖는 어떤 양자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광이나 열에너지는 불연속적으로 방사 또는 흡수 되며, 에너지 양자의 크기는 E = hv 라 정의함 양자(Quantum)가 불연속적인 값을 가진다는 것은 이때의 최소값을 하나의 입자로 간주할 수 있기에 빛은 즉 입자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아이슈타인(Einstein) , 광양자 이론 위의 막스 플랑크는 물체의 온도(T)와 빛의 스펙트럼(Spectrum) 의 관계를 흑체로부터 플랑크 상수(h) 를 도입해 고유의 진동수를 가진 빛의 최소 에너지 값을 구하면서 양자(Quantum) 라는 개념을 적용했다 여기에 아이슈타인은 특정 진동수의 빛은 그 진동수에 비례하는 에너지를 갖는 입.. 2022. 12. 10.
PCB설계, 수동소자(Passive element)의 이해 PCB 설계를 위해 수동소자를 알아야 되는 이유는 회로마다 수동소자는 필연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PCB에서 나타나는 노이즈 성분이 수동소자에서 발생한다. 수동소자의 배치나 부품 현상, 배선설계가 부적합할 시 PCB의 설계가 어려워 진다 수동소자에 대한 이해는 PCB의 고유기능을 안정적이게 하고 EMI 문제 해결에도 크게 도움을 준다 ▶ 수동소자(Passive element), 능동소자(Active element) ▷ 수동소자 에너지를 소비(R), 축적(C) 혹은 그대로 통과(L) 시키는 작용을 한다 에너지를 소비하는 작용을 하고 수동적으로만 작용한다. 외부의 전원이 필요 없이 단독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ex) 저항(Resistance), 커패시터(Capacitor), 인덕터(Inductor) 등 ▷ 능.. 2022. 12.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