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Electronic Circuit)4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주입효율, 전달률, 베이스 전송률, 증폭률 ▶ BJT, 에 의한 증폭 Emitter 부터 주입된 다수 캐리어인 정공(+)은 Base 에서 최소한의 전자(-)와 Recombine 하며 Collector 단자로 흘러가게 되는데 Base에서 Recombine 하는 정공(+)의 수는 매우 적다 ( < 1/100 정도 ) 또한 Base 에서 소비되는 전류 대부분이 이 Recombine 전류와 Base 에서 Emitter 로 주입되는 소수캐리어 이기 때문에 결국 Base 에서 소비되는 전류 대부분은 Collector 전류와 거의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즉 증폭기(Amplifier) 의 요건 을 갖준다 ▶ Base, 전송률 ( Transport Factor ) 전송률이란 iep 에 대해, ic 쪽으로 얼마나 전류가 전달되느냐 이다 Emitter 쪽에서 Base.. 2023. 2. 1. BJT(Bipolar Juntion Transistor),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기초 및 동작원리 + 에너지띠 ▶ BJT 동작 기초 역방향 바이어스의 PN 접합에서 접합부의 접합면 근처에 소수캐리어를 주입핳 수 있다면 능동소자를 만들수 있지 않을까 라는 가능성에서 착안된 소자가 BJT 이다 이미터(E), 베이스(B), 컬렉터(C) 로 이루어져 있고 베이스에 흐르는 제어전류로 컬렉터, 이미터의 전류를 제어한다 ▷ Emitter, Base, Collector Emit : 방출하다, 내보내다 → 정공(+)을 Base : 야구에서 베이스는 잠시 머물다 가는 지점 → 누가? 정공(+)이 Collecotr : 수집하다, 모으다 → 무엇을? 정공(+)을 ▶ BJT 동작 원리 전자의 이동도를 고려하면 NPN 을 중심으로 봐야하지만, 이 글에선 전류의 방향이 정공의 방향과 일치함을 고려해 PNP type 으로 이해한다 Emitt.. 2023. 1. 26. 정류회로(Rectifier Circuit) 반파 정류기, 전파 정류기, 브릿지 정류기 + 실험 결과 사진 ▶ 정류 회로(Rectifier Circuit) 란?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 하는 전기 회로이다. 전기 에너지는 교류로 전송이 되는데, 직류가 필요한 설비에는 정류회로를 사용한다. ▶ 반파 정류기 ( Half-wave Rectifier ) 다이오드(Diode) 특성을 이용하여 어떤 정형 신호의 절반(Half)의 파형(Wave) 만 출력에 나타나게 만드는 것이다. ▷ 양(+)의 반주기 다이오드는 순방향 이므로 다이오드 스위치는 ON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고 RL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 파형(Vin) 과 동일하다. ▷ 음(-)의 반주기 다이오드는 역방향 이므로 다이오드 스위치는 OFF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고 RL 출력 전압은 ' 0 ' 제로가 된다. 즉 반파정류기(Half-wave Rec.. 2022. 11. 24. 다이오드(Diode) 기초 및 특성, p-n Junction ▶ 다이오드(Diode)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를 접합한 것이다. ▷ n형 반도체 순수한 실리콘 반도체에 5가의 분순물 원자를 첨가 실리콘의 최외각 전자 4개에 5가 의 분순물 원자를 첨가하므로 1개의 자유전자가 있다 ▷ p형 반도체 순수한 실리콘 반도체에 3가의 분순물 원자를 첨가 실리콘의 최외각 전자 4개에 3가 의 분순물 원자를 첨가하므로 1개의 홀이 발생한다 다이오드 회로 심벌에서 화살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른다 ▶ 다이오드(Diode) 특성 ▷ 순방향 바이어스 (Foward Bias) 다이오드의 양극(Anode) 이 음극(Cathode) 보다 높은 전위를 가지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0.7[V] 이상이 되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한다 즉 캐리어가 이동한다는 뜻이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p.. 2022. 9. 2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