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 이야기2

신기루는 왜 생길까? 더운 여름날 자동차를 타면 아스팔트 도로 위에 물웅덩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가까이 가면 사라져버리는데 이것을 신기루 현상 이라고 말한다. 물웅덩이 신기루를 볼수 있는 이유는 빛의 굴절 때문이다. 아스팔트가 뜨거운 햇빛을 받아 가열되면 아스팔트 위에 공기는 다른 공기들에 비해 뜨거워 진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밀도가 낮다 ( 뜨거운 공기 < 차가운 공기 ) 뜨거운 공기에서는 분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빛(=햇빛)은 차가운 공기보다 뜨거운 공기에서 속도가 더욱 빠르다. ( 밀도가 클수록 빛이 통과하기가 힘들다 ) 이러한 밀도 차이 에 의해 공기의 층 이 생기게 되면은 그 경계면에서 빛의 굴절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빛의 속도는 약 3×10^8 [m.. 2022. 9. 15.
하늘은 왜 파란색일까 ? 파란 하늘, 노을진 붉은 하늘 둘다 아름다운 하늘이다. 파란 하늘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맑아지는 기분이 들고 반대로 붉은 하늘은 아련하고 적적한 기분을 든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이렇게 아름다운 하늘을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두 눈 이다. 그런데 우리의 눈은 볼 수 있는 색상이 정해져 있다. 이것을 가시광선 영역 이라 하는데 붉은 색 ~ 보라 색 으로 구성이 되있다. 붉은 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길고, 산란각도도 크다 반대로 보라 색으로 갈수록 파장은 짧고 산란각도는 작다. ▶ 산란이란? 여기서 산란이란 전자파가 물질에 부딪히면 여러방향으로 반사되는 현상이다. 우리가 보는 색(색깔)이란 가시광선 색중 특정한 빛이 반사되어 우리눈에 들어와 색들을 보는 것이다 빨간 사과가 탁자에 있다고 생각한다.. 2022. 8. 31.
728x90